외부 전원을 이용할 경우 아두이노 나노가 필요로 하는 최소 전압은 7V이며, 이때 공급 전압이 12V를 넘어서면 안된다.
'취미생활 > 아두이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nnot open /dev/ttyUSB0: Permission denied (0) | 2016.08.02 |
---|---|
아두이노 소개 (0) | 2016.08.01 |
외부 전원을 이용할 경우 아두이노 나노가 필요로 하는 최소 전압은 7V이며, 이때 공급 전압이 12V를 넘어서면 안된다.
Cannot open /dev/ttyUSB0: Permission denied (0) | 2016.08.02 |
---|---|
아두이노 소개 (0) | 2016.08.01 |
리눅스 Ubuntu에서 아두이노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아시는 분들은 드물지만, 시도를 하다가 막히는 부분이 있을겁니다.
그 부분은 바로 Cannot open /dev/ttyUSB0: Permission denied
퍼미션 거부당하여 안되는 것은 알지만 어떻게 해결을 해야할지 막막하여 검색을 해도 제대로 된 해결책을 찾지 못했었습니다.
그러던 중 아두이노 사이트에서 검색을 하여 옛날에 올린 댓글을 보고 시도를 했더니 드디어 해결했습니다.
아래와 같이 하시면 됩니다.
유저명@NC10:/opt/arduino-1.6.10$ sudo usermod -a -G dialout 유저명
유저명@-NC10:/opt/arduino-1.6.10$ sudo chmod a+rw /dev/ttyUSB0
딱 두줄로 해결됩니다.
볼드체로 된 유저명 은 로그인 할 때의 아이디입니다.
아두이노(Arduino)는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단일 보드 마이크로컨트롤러이다. 아트멜 AVR을 기반으로 한 보드로 이루어져 있고 최근에는 Cortex-M3를 이용한 제품(Arduino Due)도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통합 환경(IDE)이 있다. 아두이노는 다수의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값을 받아들여, LED나 모터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들을 통제함으로써 환경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물건을 만들어낼 수 있다. 또한 어도비 플래시, 프로세싱, Max/MSP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연동할 수 있다.[3]
아두이노의 가장 큰 장점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쉽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AVR 프로그래밍이 WinAVR로 컴파일하여, ISP장치를 통해 업로드를 해야하는 등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비해, 아두이노는 컴파일된 펌웨어를 USB를 통해 업로드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아두이노는 다른 모듈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고, 윈도를 비롯해 맥 OS X, 리눅스와 같은 여러 OS를 모두 지원한다. 아두이노 보드의 회로도가 CCL에 따라 공개되어 있으므로, 누구나 직접 보드를 직접 만들고 수정할 수 있다.
아두이노가 인기를 끌면서 이를 비즈니스에 활용하는 기업들도 늘어나고 있다. 장난감 회사 레고는 자사의 로봇 장난감과 아두이노를 활용한 로봇 교육 프로그램을 학생과 성인을 대상으로 북미 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다. 자동차회사 포드는 아두이노를 이용해 차량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차량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오픈XC라는 프로그램을 선보이기도 했다.
- 출처 : 위키백과사전 -
아두이노는 단일 보드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80년대 중후반에 나온 80286PC(16MHz) 정도의 속도로 동작하는 컴퓨터입니다. 다만 메모리나 저장공간, 입출력 장치가 매우 제한적이거나 없는 대신 다른 LED, 모터, 입력장치, 출력장치 등등을 제어하는데 특화된 컴퓨터입니다. 아두이노는 오픈소스 & 하드웨어 로 배우기 쉽게 개발환경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이런 특징 때문에 아두이노는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가장 활발하게 관련 지식들이 공유되고 있습니다.
아두이노는 크게 정식 아두이노 보드와 아두이노 호환 보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정식 아두이노 보드는 공식 사이트인 arduino.cc 에 기술된 보드들 입니다.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각 보드들의 특징과 스펙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으며, 설계도(schematic)도 구하실 수 있습니다. 아두이노의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즉, 통합개발환경도 여기에 맞게 동작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아두이노 보드의 설계도를 참조해서 똑같이 만든 보드 혹은 변형을 가해 특별한 기능을 더한 보드들도 존재합니다. 이런 보드들을 아두이노 호환(compatible) 보드라고 합니다. 아두이노와 100% 호환이 되는 보드라고 되어 있어도, 정식 아두이노 보드와 다르게 지원이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ex. 블루투스 통신 부분..이 부분은 나중에 다루겠습니다.) 정식 아두이노 보드에도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몇 개의 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두이노로 내가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 과정을 거치게됩니다.
4. 아두이노 구조
아두이노 전압 (0) | 2016.08.27 |
---|---|
Cannot open /dev/ttyUSB0: Permission denied (0) | 2016.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