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ppium을 통하여 Mobile Web을 실행할 때, 코드 몇줄의 실행이면 끝입니다.

 

desired capabilities라는 JSON 객체 설정하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에서 정리를 하였습니다.

 

코드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XXX Android 버전 11 디바이스의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것을 desired_caps에 정의 합니다.

Senium Webdriver를 활용해 Remote 하는 주소인 http://127.0.0.1:4723/wd/hub 즉, Appium 서버 주소를 입력하여 줍니다.

그리고 네이버 주소를 들어가고, driver 종료를 해라라는 뜻입니다.

from appium import webdriver

desired_caps = dict(
    deviceName= 'XXX',
    platformName='Android',
    platformVersion='11',
    browerName='chrome'
)

driver = webdriver.Remote('http://127.0.0.1:4723/wd/hub', desired_caps)
driver.get("https://www.naver.com/")

driver.quit()

 

반응형

'software testing > appium'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ium DesiredCapabilities 설정 방법  (0) 2023.01.26
Appium 설치 - Appium  (0) 2022.03.14
Appium 설치 - Node.js  (0) 2022.03.12
Appium 설치 - Android SDK  (2) 2022.03.11
Appium 설치 - JDK (Window Version)  (0) 2022.03.10
반응형

라즈베리 파이를 처음 부팅하면 id와 password를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그런데 난 id와 password를 입력한 기억이 없고 설명서에도 없는데....

라고 생각하시며 구글링을 하시겠죠~

이건 뭐 이렇게 산넘어 산인지...

 

우선 알려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ID : pi

PASSWORD : raspberry

 

그러면 아래와 같이 나올꺼예요!

 

 

 

뭔가 있어보이죠?

 

여기에 아래 명령어를 쳐보세요.

 

 

 pi@raspberrypi ~ $ sudo raspi-config

 

그러면 기본적인 환경 설정을 할 수 있는 "raspi-config" 툴 화면이아래와 같이 나와요.

 

 

 

메뉴가 9개나 되네요 간단히 살펴보면

 

1. Expand Filesystem : SD 카드의 전체용량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Change User Password : 'pi'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3. Enable Boot to Desktop/Scratch : 부팅시 GUI Windows 환경으로 시작합니다.

4. Internationalisation Options : 언어, 키보드, Timezone 등을 설정합니다.

5. Enable Camera :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6. Add Add to Rastrack : rasstack 서버에서 사용중인 Raspberry pi를 등록합니다.

7. Over Clock : 700MHz 이상의 CPU Clock으로 변경 가능합니다.

8. Advanced Options : Hostname, SSH, SPI, Audio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9. About raspi-config : raspi-config에 대한 설명입니다.

 

제일 많이 사용하시는게 보통 2,4번이지만 원하시는대로 설정하시고 Finish를 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4번의 시간, 키보드에 대한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