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라즈베리파이에 대한 포스팅을 하기전에 라즈베리와 아두이노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봤어야 했는데 그렇게 하질 못 했네요.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아래의 사진을 보면 아두이노는 입출력 단자들이 별로 없는 반면, 라즈베리파이는 입출력 단자들이 많이 있네요.

 

 

 

 

아두이노

아두이노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ATMega328을 쓰고있는 아두이노 우노로 알아보겠습니다.

 

 

 

 

 

전압 : 5V

램 : 2k
플래시메모리 : 32k
타이머와 Serial

I2C, SPI 등

 

 

아두이노는 상대적으로 배우기 쉬쉽게 Sketch라는 프로그램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IDE에서 작성된 프로그램은 칩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프로그램입니다.
인터프리터도 필요없고, 운영체제도, 펌웨어도 필요 없습니다.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 파이는 Single Board Computer라고 하며 약어로 SBC라고 합니다.
 

 
보드의 소형처리장치(Microprocessor)는 음향, 영상, USB, 이더넷 및 HDMI까지 지원합니다.
통상적인 입출력(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 장치가 있습니다.

 


뭔가 차이점이 느껴지지 않으신가요?

 

라즈베리파이는 리눅스라는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운영체제 내에서 제어가 가능하지만,

아두이노는 운영체제가 따로 없습니다.

 


 

좀 더 깊게 보면 아두이노는 소형 제어장치(MicroController)라고 하며, 라즈베리파이는 소형 처리장치(MicroProcessor)라고 합니다.

두개 다 명령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가 있고, 타이머(Timer)와, 기억장치(Memory), 입출력 핀(I/O Pin)들이 들어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큰 차이점이 있는 부분은 입출력 핀입니다.

 


소형제어장치는 입출력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소형 제어장치가 외부의 기기를 직접적으로 제어합니다.

 

하지만, 소형제어장치는 입출력 부분이 약한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트랜지스터가 외부의 기기를 다룹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