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라즈베리파이를 하면서 어떤 용도로 만들까 고민해보다가 요즘 많이 하는 게임 첫 프로젝트로 해보려고 합니다.

 

권장사양이 라즈베리파이2 입니다 (다양한 게임이 지원되기 때문에..)

 

 레트로파이 다운로드사이트 바로가기

 

레트로파이 다운로드 사이트에 가시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RetroPie SD-Card Images에서 가지고 계신 라즈베리파이에 맞춰서 이미지를 다운 받으시고 Win32 Disk Imager로 구워주세요. (잘 모르시겠으면 여기 참조)

 

 

 

반응형
반응형

라즈베리 파이를 처음 부팅하면 id와 password를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그런데 난 id와 password를 입력한 기억이 없고 설명서에도 없는데....

라고 생각하시며 구글링을 하시겠죠~

이건 뭐 이렇게 산넘어 산인지...

 

우선 알려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ID : pi

PASSWORD : raspberry

 

그러면 아래와 같이 나올꺼예요!

 

 

 

뭔가 있어보이죠?

 

여기에 아래 명령어를 쳐보세요.

 

 

 pi@raspberrypi ~ $ sudo raspi-config

 

그러면 기본적인 환경 설정을 할 수 있는 "raspi-config" 툴 화면이아래와 같이 나와요.

 

 

 

메뉴가 9개나 되네요 간단히 살펴보면

 

1. Expand Filesystem : SD 카드의 전체용량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Change User Password : 'pi'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3. Enable Boot to Desktop/Scratch : 부팅시 GUI Windows 환경으로 시작합니다.

4. Internationalisation Options : 언어, 키보드, Timezone 등을 설정합니다.

5. Enable Camera :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6. Add Add to Rastrack : rasstack 서버에서 사용중인 Raspberry pi를 등록합니다.

7. Over Clock : 700MHz 이상의 CPU Clock으로 변경 가능합니다.

8. Advanced Options : Hostname, SSH, SPI, Audio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9. About raspi-config : raspi-config에 대한 설명입니다.

 

제일 많이 사용하시는게 보통 2,4번이지만 원하시는대로 설정하시고 Finish를 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4번의 시간, 키보드에 대한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라즈베리파이에 대한 포스팅을 하기전에 라즈베리와 아두이노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봤어야 했는데 그렇게 하질 못 했네요.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아래의 사진을 보면 아두이노는 입출력 단자들이 별로 없는 반면, 라즈베리파이는 입출력 단자들이 많이 있네요.

 

 

 

 

아두이노

아두이노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ATMega328을 쓰고있는 아두이노 우노로 알아보겠습니다.

 

 

 

 

 

전압 : 5V

램 : 2k
플래시메모리 : 32k
타이머와 Serial

I2C, SPI 등

 

 

아두이노는 상대적으로 배우기 쉬쉽게 Sketch라는 프로그램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IDE에서 작성된 프로그램은 칩에서 사용하는 유일한 프로그램입니다.
인터프리터도 필요없고, 운영체제도, 펌웨어도 필요 없습니다.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 파이는 Single Board Computer라고 하며 약어로 SBC라고 합니다.
 

 
보드의 소형처리장치(Microprocessor)는 음향, 영상, USB, 이더넷 및 HDMI까지 지원합니다.
통상적인 입출력(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 장치가 있습니다.

 


뭔가 차이점이 느껴지지 않으신가요?

 

라즈베리파이는 리눅스라는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운영체제 내에서 제어가 가능하지만,

아두이노는 운영체제가 따로 없습니다.

 


 

좀 더 깊게 보면 아두이노는 소형 제어장치(MicroController)라고 하며, 라즈베리파이는 소형 처리장치(MicroProcessor)라고 합니다.

두개 다 명령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가 있고, 타이머(Timer)와, 기억장치(Memory), 입출력 핀(I/O Pin)들이 들어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큰 차이점이 있는 부분은 입출력 핀입니다.

 


소형제어장치는 입출력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소형 제어장치가 외부의 기기를 직접적으로 제어합니다.

 

하지만, 소형제어장치는 입출력 부분이 약한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트랜지스터가 외부의 기기를 다룹니다.

 

 

 

 
반응형
반응형

무언가를 만들어 보고 싶어서 웹서핑을 하던중..라즈베리 파이를 알게 되었습니다.

이게 무엇인고? 하고 찾아보니~

 

영국의 라즈베리파이 재단이 학교에서 기초 컴퓨터 과학 교육을 증진시키기 위해 만든 싱글보드 컴퓨터로 그래픽 성능이 뛰어나면서도 저렴한 가격(세금을 포함하지 않은 모델 A의 경우 25달러, 모델 B의 경우 35달러)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가격도 싸고 만들어 볼 것이 많아서 구매를 떡~ 하니 하였는데....

 

라즈베리 파이를 구매하면 자동으로 OS가 설치되어 있을 줄 알았는데...그게 아니었더군요

그래서 검색을 해보고 서적 한권을 구매해서 살펴보는 중에 공유해보고자 하여 블로그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준비물 : 라즈베리파이 , 포맷된 SD카드 8기가 이상(SD카드 포맷에 대한 글로 이동) , HDMI 케이블(구형 LCD 모니터면 HDMI-DVI젠더 필요)

 

 

 

이제 Raspbian을 SD카드에 넣어야 겠죠?

 

우선 Raspbian을 받습니다.

 

Raspbian 사이트 바로가기

 

 

 

 

그런데 SD카드에는 .img 파일을 그대로 사용 못합니다. 그래서 제공하는 것이 Win32 Disk Imager 입니다.

 

우선 이것도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 받아주세요~

 

Win32 Disk Imager 사이트 바로가기

 

 

 

 

다운 받은 것을 압축해제하시고 Win32DiskImager-0.9.5-install.exe를 인스톨 해주세요. (설마 인스톨 못하시는건 아니죠?ㅎ)

 

실행 시키시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그러면 Raspbian 이미지 파일을 불러오셔서 SD카드 있는 장소로 바꿔주시고 Write 해주세요. ( 정말 계속 할꺼냐고 묻는데 그렇다고 해주세요~ )

 

P.S : 폴더 이름이 한글이면 오류 발생하니 폴더명을 영어로 바꿔주세요~!

 

 

 

좀만 기다리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자~ 다 끝났어요~ 이걸 라즈베리파이 SD카드 넣는 곳에 꽂아서 켜보세요~ 참 쉽죠잉~

 

 

반응형

+ Recent posts